Surprise Me!

[1타강사] '통화 스와프'가 환율 잡는 '만병통치약'일까? / YTN

2022-07-22 4 Dailymotion

어려운 경제 뉴스를 쉽게 풀어드리는 '경제부 1타강사' 시간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은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통화 스와프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들어 원-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외화 보유액이 줄어들면서 미국과 '통화 스와프'를 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체 통화 스와프가 무엇이기에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 걸까요? <br /> <br />통화 스와프는 말 그대로 통화를 서로 맞바꾸는 계약입니다. <br /> <br />예를 들어 한국과 미국의 통화 스와프라면 필요할 때 정해진 한도 안에서 우리가 가진 원화를 미국에 주고,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달러를 받습니다. <br /> <br />그럼 우리 정부의 달러 보유액이 늘어나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그럼 통화를 왜 바꿀까요? <br /> <br />우리가 살다 보면 아무리 안정적인 직장에 다닌다고 해도 단기적으로 돈이 부족할 때가 생깁니다. <br /> <br />나라도 마찬가지죠. <br /> <br />국가의 체력과는 별개로 일시적으로 외화가 부족해질 수 있는데 이럴 때 통화 스와프가 있다면 대처가 수월해집니다. <br /> <br />우리가 체결한 통화 스와프는 뭐가 있을까요? <br /> <br />대표적인 나라는 지난 2017년에 체결한 캐나다입니다. <br /> <br />조건이 무척 좋습니다. <br /> <br />규모는 무제한이고, 만기는 무기한입니다. <br /> <br />언제는 원하는 만큼 바꿀 수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밖에 중국, 스위스 등 모두 8개 나라와 통화 스와프를 운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신 것처럼 통화 스와프 상대국에 미국은 없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두 차례 체결했는데, 가장 최근인 2020년에 맺었던 스와프 계약이 지난해 연말에 종료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왜 반년 만에 다시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가 거론될까요? <br /> <br />무엇보다 미국 달러는 국제결제의 기준이 되는 기축통화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는 데 역시 달러가 최고죠. <br /> <br />하지만 한-미 통화 스와프가 환율 안정에 큰 도움이 될지에 회의적인 시선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 미국과 상설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5개 나라 가운데 하나지만, 일본 엔의 가치는 우리나라 원보다 더 크게 추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없는 것보단 낫다는 말이 많지만,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가 외환시장 안정의 만병통치약은 아니라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72307241722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